남들과는 다르게, 남들보다 앞서서




대만의 '왕융칭(王永慶)'은 1917년
타이베이 근교 신톈의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맨손으로 시작해 대만 최고의 재벌이 된 그는
학업을 포기하고 16세에 첫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쌀가게를 하면 굶지는 않겠다는 생각에 시작한
작은 쌀가게는 시작부터 다른 가게와는
전혀 달랐습니다.

당시 정미 기술이 신통치 않았던 대만의 쌀은
쌀에 섞인 돌을 골라내지 않고 그냥 팔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는 그 돌들을 하나하나 골라내고
'돌 없는 쌀'을 팔았습니다.

더구나 당시에는 아무도 시도하지 않은
쌀 배달을 실시하였고 나아가 고객들의
쌀 소비 패턴을 파악하여 쌀이 떨어진 집에 알아서
쌀을 배달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했습니다.

이 같은 '고객 감동'으로 그는
하루 12말을 팔던 쌀을 100말 이상
팔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2차 세계대전의 발발과 일제의
강제적인 쌀 배급제도 때문에 사업을
접어야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좌절하지 않고 새로운 도전을 했습니다.
전쟁으로 인해서 잘 먹이지 못해 말라가는
가축들에게 눈을 돌렸습니다.

밭에서 수확이 끝난 후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
배추 껍질과 뿌리를 모으고 정미소에서 버려지는
볏짚과 쌀겨를 사들여 사료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농가를 돌며 마른 거위들을 사들인 후
사료를 먹여 통통하게 살을 찌웠습니다.
당연히 그가 키운 거위들은 다른 거위들보다
두 배 이상의 가격에도 불구하고
날개 돋친 듯 팔렸습니다.

그렇게 돈이 모이자 1954년 대만 플라스틱을 창업하여
기업인으로 변신했으며 이후 대만에서 유일하게
'세계 50대 기업'에 들어 '경영의 신'이란
칭호까지 얻었습니다.

남들과는 다르게, 남들보다 앞서서 행동하는 것이
바로 그의 성공의 비결이었던 것입니다.





왕융칭 회장은 검소하기로도 유명합니다.
새 양복 한 벌 걸치는 것을 사치스럽게 여겼고
목욕 수건 1장으로 30년간 쓰기도 했습니다.
전화비를 아끼려고 외국에 유학 간 자녀들에게
편지를 써 보내면서 우표 값을 아끼기 위해
여러 장의 편지지에 글을 썼습니다.

2008년 향년 91세로 세상을 떠나면서
"돈이란 하늘이 잠시 내게 빌려준 것"이라면서
생전에 전 재산을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혀왔지만,
갑작스러운 심근경색으로 인한 죽음으로
유서를 남기지 못했습니다.

왕융칭 회장이 대만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가가 된 것은 이러한 품성을 바탕으로 한
능력이었기 때문입니다.


# 오늘의 명언
꿈을 품고 뭔가 할 수 있다면 그것을 시작하라.
새로운 일을 시작하는 용기 속에
당신의 천재성과 능력과 기적이 모두 숨어 있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

출처:따뜻한 하루

#학교시험대비 #무료기출문제은행 #사교육비절약법 #학원 #내신대비 #수능모의고사 #학습비법 #인터넷강의 #무료기출문제 #1학기중간고사대비

 

 

728x90(권장), 468x6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롤러코스터 인생  (0) 2020.03.01
47년 만에 돌아온 반지  (0) 2020.03.01
므두셀라 나무  (0) 2020.03.01
백범(白凡)  (0) 2020.03.01
돼지 저금통  (0) 2020.03.01
Posted by 광박사(1)

므두셀라 나무




미국 캘리포니아의 인요 국립공원 삼림지에서도
해발 3,000m 이상의 고지대에서 자생하고 있는
어쩌면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나무가 있습니다.
이 나무는 브리슬콘 소나무의 일종으로
무려 4,900년이나 되었다고 합니다.

1957년 애리조나 대학의 에드먼드 슐먼이라는 학자가
나무의 생장추를 이용해 나이를 측정한 결과이며
그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나무 이름을
성경 인물 중 969살까지 산 것으로 기록돼 있는
므두셀라의 이름을 따서 부릅니다.

보통의 나무처럼 므두셀라 나무에도 형성층이 있어
굵기가 계속 굵어지는데, 4,900년 동안
굵어졌으니 엄청나겠다 싶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데
이 나무는 아주 더디게 조금씩 자라기 때문에
100년 동안 고작 3cm밖에 굵어지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므두셀라는 혹한의 날씨와 사나운 바람,
적은 강수량 등 가장 나쁜 생존 조건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혹시 열악한 환경 때문에 낙심하고 계신가요.
아니면 남들보다 느리게 가는 것 같아
좌절하고 계신가요.

므두셀라의 장수 비결은 최악의 환경 속에서도
꿋꿋이 살아내는 강인한 생존력과
다른 나무보다는 더디지만 아주 조금씩
꾸준히 자라는 데 있습니다.

우리가 인생에서 롱런하는 비결도
이와 같습니다.


# 오늘의 명언
역경은 당신에게 생각할 수 없는 것을
생각하게 할 용기를 준다.
– 앤디 그로브 –

출처:따뜻한 하루

#학교시험대비 #무료기출문제은행 #사교육비절약법 #학원 #내신대비 #수능모의고사 #학습비법 #인터넷강의 #무료기출문제 #1학기중간고사대비

 

 

728x90(권장), 468x6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47년 만에 돌아온 반지  (0) 2020.03.01
남들과는 다르게, 남들보다 앞서서  (0) 2020.03.01
백범(白凡)  (0) 2020.03.01
돼지 저금통  (0) 2020.03.01
형제간의 용서  (0) 2020.03.01
Posted by 광박사(1)

백범(白凡)

좋은 글 모음 : 2020. 3. 1. 12:50

백범(白凡)




일제강점기 시절 독립운동가 중에서도
최고의 인지도와 영향력을 가진 김구 선생님.
1876년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나
조국을 위해 동학농민운동과 교육 계몽운동에
참여하신 선생님.

1919년에는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으며
194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으로 선출되어
일제와 싸우며 조선의 독립을 위해
인생을 바친 김구 선생님.

대한민국 많은 사람들에게 존경 받는
김구 선생님의 호는 '백범(白凡)'입니다.
이 의미를 잘 모르는 사람은 김구 선생님의
드높은 기개를 생각하며 선생님이 품은 호의 의미가
하얀 호랑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범의 '백'은 천대받으며 살아왔던
신분인 백정(白丁)에서 따온 것이며
'범'은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의
범부(凡夫)에서 따온 것입니다.





'가장 낮고 가장 평범한 한 명의 사람'
백범 김구 선생님은 자신의 호를 마음에 품고
항상 조국을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치기로 했습니다.

가장 낮은 곳에서 그 무엇보다도 높았던
선생님의 정신을 존경합니다.


# 오늘의 명언
오늘 내가 남긴 발자취는 후세의 사람들에게
이정표가 된다.
– 백범 김구 –

출처:따뜻한 하루

#학교시험대비 #무료기출문제은행 #사교육비절약법 #학원 #내신대비 #수능모의고사 #학습비법 #인터넷강의 #무료기출문제 #1학기중간고사대비

 

 

 

728x90(권장), 468x60, 336x280(권장), 300x250(권장), 250x250, 200x200 크기의 광고 코드만 넣을 수 있습니다.

'좋은 글 모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들과는 다르게, 남들보다 앞서서  (0) 2020.03.01
므두셀라 나무  (0) 2020.03.01
돼지 저금통  (0) 2020.03.01
형제간의 용서  (0) 2020.03.01
세렌디피티의 행운  (0) 2020.03.01
Posted by 광박사(1)